Birthday Bora
데이터 타입 본문
더보기

공부한 걸 혼자서 정리하는 자바스크립트

[ 본 내용은 공부한 내용을 제 생각대로 간략하게 정리를 해서 올리는 글입니다. ]
데이터 타입으로는 원시타입의
구분 | 데이터 타입 | 설명 |
원시 타입 |
숫자 타입 | 숫자, 정수와 실수 구분 없이 하나의 숫자 타입만 존재 |
문자열 타입 | 문자열 | |
불리언 타입 | 논리적 참과 거짓 | |
undefined 타입 | 값이 없다는 것을 의도적으로 명시할 때 사용하는 값 |
|
null 타입 | 값이 없다는 것을 의도적으로 명시할 때 사용하는 값 |
|
심벌 타입 | ES6에서 추가된 7번째 타입 | |
객체 타입 | 객체, 함수, 배열 등 |
숫자 타입 -
let 1 = 10; // 정수
let 2 = 10.1; // 실수
let 3 = -10 // 음의 정수
문자열 타입 -
let Birthday
Birthday = '생일'; // 작은 따옴표
Birthday = '생일'; // 큰 따옴표
Birthday = '생일'; // 백틱
// 따옴표로 감싸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한다.
불리언 타입 -
let Birthday = true;
console.log(Birthday); // 참
let Birthday = false;
console.log(Birthday); // 거짓
undefined 타입 -
var Birthday;
console.log(Birthday); // undefined
ve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 값을 할당하지 않은 상태로 출력을 한다면 암묵적으로 undefined로 초기화가 된다
null 타입 -
let Birthday = "Bora";
Birthday = null;
Comments